[기고]글: 이수창·오현식·김익수 ADD박사

요 약

해성-1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시험평가 경험과 국방과학연구소가 보유한 국내 시험평가 시설/역량을 소개하고,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개발에 필요한 시험평가 자원을 소개한다. 소개되는 시험평가 경험에는 시험평가 기본계획서 작성, 모델링/시뮬레이션, 모의비행시험, 항공기 탑재비행시험 등이 포함되고, 시험평가 시설로는 국방과학연구소의 안흥종합시험단과 해미 항공시험장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시험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을 제시한다.

서 론

미래 전장 상황에서 요구되는 첨단의 유도무기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기술 발전 추세를 조사하는 것과 아울러 국내 연구역량을 고려하여 달성 가능한 개발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아울러 "해당 목표들을 적정하게 시험평가 할 수 있는가?" 또한 무기체계획득에 있어 주요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함정 또는 항공기 발사형으로 개발된 유도탄을 다양한 발사플랫폼으로 변경하여 유도탄의 운용성을 증대시키는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Harpoon을 들 수 있다.
 

그림 1. HARPOON(UGM-84) ⓒ2008 HelloDD.com

Harpoon은 미국의 대표적인 대함 유도탄(Anti-ship Missile)으로 항공기, 함정(경사발사, 수직발사), 잠수함, 해안의 이동형 발사대에서 발사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해성-1의 경우 해군의 요구와 현재 국내 개발환경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우선적으로 함정 경사발사형으로 개발되었으나, 여기서 확보된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발사플랫폼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특히, 공중통제기(KA-1) 및 초음속 고등훈련기 T/A-50 개발 경험을 통하여 항공기 개발 능력이 성숙됨에 따라 공중발사형 유도무기체계의 개발가능성 또한 타진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그림 2. 해성-1(좌), 그림 3. T-50(우) ⓒ2008 HelloDD.com

국내의 공중발사 유도무기 시험평가는 해외로부터 획득한 항공기와 유도무기체계를 통합하는 수락시험(AT)을 수차례 수행하였으며, T-50 항공기에서 도입 무장의 발사 시험을 수행한 바 있다. 최근 들어 국산 항공기에 국산 유도무기체계를 시험한 첫 번째 시도로 2006년 하반기에 수행한 항공기 탑재 정밀유도폭탄인 KGGB(Korean GPS Guided Bomb) 발사시험이 있다[1].

이 글에서는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의 발전방향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함대함 유도무기 연구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시험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에 필요한 시험평가 기법과 국과연이 보유하고 있는 시험평가 인프라를 소개한다. 또한 이를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시험평가에 적용하는 방안을 개념수준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관련 기관 및 인원들이 보다 발전된 토의/연구를 진행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발전방향[2, 3] 기본적인 공중발사 무장에는 기총, 무유도 일반폭탄(General Purpose Bomb 혹은 DumbBomb), 무유도 로켓 등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무장들은 들이는 노력에 비해 공격력에 있어서나 발사 항공기의 안전성 등에 있어 취약한 점이 많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많은 선진국은 고도로 발전하는 기술추세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무기체계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발전방향은 크게 사거리 연장, 정확도 증대, 탄두 능력 증대/다양화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방향은 사거리(Range) 연장인데 이를 위해서 공력특성을 개선(주날개 장착)하는 방안과 고효율 추진체계(터보엔진) 적용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일반폭탄에 주날개만 달아 원격 타격(Stand-off) 능력을 갖춘 예로는 Longshot과 JDAM-ER(Joint Direct Attack Munition-Extended Range)이 있으며, 터보 엔진을 장착하여 운용중인 Harpoon에 주날개를 추가 장착한 SLAM-ER(Stand-off Land Attack Missile-ER)을 들 수 있다.

▲그림 4. Longshot(좌), 그림 5. JDAM-ER(우) ⓒ2008 HelloDD.com

▲그림 6. SLAM-ER(좌), 그림 7. JDAM(우) ⓒ2008 HelloDD.com

▲그림 8. DAMASK_1 ⓒ2008 HelloDD.com

두 번째 방향은 유도조종 능력을 추가하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위성항법체계(GPS)를 이용하는 JDAM 및 탐색기와 종말호밍유도 기법을 이용하는 JDAM-DAMASK(Direct Attack Munitions Affordable SeekerKit), Maverick, TAURUS KEPD 350 등이 그 사례이다. 세 번째 방향은 탄두 능력을 증대하거나 그 종류를 다양화하여 여러 종류의 표적에 효과적인 무기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GBU-28 Bunker Buster, 침투 탄두(Penetrator Warhead), 분산 탄두, 전자기펄스(EMP) 탄두, 탄소섬유 탄두 등이 그 사례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 방향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구현한 체계로 독일의 TAURUS KEPD350을 들 수 있다.

이 유도무기 체계는 사거리 증대를 위해 양항공력특성이 양호한 날개 및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여 350km 이상의 사거리를 확보하였으며, 정확도 증대를 위해 관성항법장치와 아울러 적외선 탐색기, 전파고도계 그리고 GPS를 통합 활용하였다. 그리고 종말단계에서 침투성능 확보를 위해 침투 탄두인 MEPHISTO 탄두를 장착하여 고침투력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9. Maverick(좌), 그림 10. TAURUS KEPD 350(우) ⓒ2008 HelloDD.com

▲그림 11. GBU-28 Bunker Buster(좌), 그림 12. 분산탄두(우) ⓒ2008 HelloDD.com

▲그림 13. 침투탄두 예(BROACH)(좌), 그림 14. 침투탄두 예(MEPHISTO)(우) ⓒ2008 HelloDD.com

유도무기 시험평가(Test & Evaluation) 절차

유도무기의 연구개발에 있어 시험평가는 사용자요구 및 체계규격 등 다양한 요구조건(Requirements) 만족 여부를 효율적으로 확인 및 제시하는 업무로 연구개발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험평가를 진행함에 있어 "어떻게 효과적으로 요구조건을 종합하고, 이에 적절한 시험평가 방안을 동원하여 평가 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화두이다.

시험평가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확인하지 못하게 된다면 사업완료의 치명적인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험평가가 시험평가 여건상 불가능하거나, 확보된 예산 및 기간을 과도하게 초과한다면 그 또한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인정할 수 있으며, 실제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적정한 시험평가 범위를 결정하고 상호협의에 의해 시험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시험평가 수행을 위하여 시험평가 기본계획서(TEMP : Test & Evaluation Master Plan)를 작성하게 되는데, 미국에서는 1986년에 이미 DoD Directive 5000.3-M-1로 시험평가 기본계획 지침(Guidelines)을 제시하여 활용하여 오고 있다[4].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에 발표된 방위사업청 훈령 '방위력개선사업관리규정'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언급되고 현재 2007년 10월 말 개정판[5]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 15는 무기체계 개발과정에서 TEMP의 역할을 나타내고 있다. 즉 TEMP는 사용자의 요구조건 및 체계규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실제 시험평가와 연결할 것인가?'하는 계획을 사업초기 부터 문서로 작성함으로써 이해당사자 간의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시험평가를 수행하도록 해준다.

▲그림 15. TEMP의 역할 ⓒ2008 HelloDD.com

다음 절들에서 TEMP에 따라 진행되는 유도무기체계 시험평가 절차를 정리한다. 먼저 유도무기의 개발에 있어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소프트웨어적인 시험평가를 수행하고, 하드웨어의 비중을 점점 증가시키면서 시험평가를 진행하며, 최종적인 비행시험에서는 모든 시험 평가 대상이 하드웨어로 전환된다.

▣ 소프트웨어 시험평가(Modeling & Simulation)

유도무기의 개발에 있어 유도무기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모델링/시뮬레이션(M&S)기법이 동원된다. 우선 유도탄의 특성에 따라 비행운동역학을 모델링 하게 되는데 이때 6자유도(DOF, Degree Of Freedom) 모델링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유도탄에 영향을 주는 각종 요소들에 대한 모델링이 수행된다. 유도탄의 외부요소로는 추력모델, 공력모델, 질량모델, 대기환경모델, 지구모델 등이 있고, 유도탄의 내부요소에는 항법장치, 유도조종장치, 구동기 등의 구성품 모델과 가속도계, 각 속도계 등 각종 센서모델이 포함된다.

이렇게 작성된 6자유도 모델은 유도탄의 성능을 예측하는 기능뿐 아니라 유도탄에 필요한 각종 탑재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대상(plant)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6자유도 모델은 각 구성품의 단품시험 및 비행시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수정/보완되며 최종적인 비선형 탄도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확정된다.

그림 16에는 MathWorks사의 MATLABⓇ에서 예제로 제공하는 6자유도 궤적/자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구성사례를 보여주고 있다[6]. 이 모델에는 비행체(Airframe) 모델과 관성항법장치(IMU), 위성항법장치(GPS), 공력자료(air-data) 시스템 등 센서모델이 포함된다. 이 중 비행체모델의 세부내용에는 대기모델, 바람모델, 중력모델 등이 포함되고, 그림 16의 하단에는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과 구동기모델이 구성되어 있다.

검증된 궤적/자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시험평가에 활용하여 비행시험으로 구현하기 힘든 다양한 상황에서의 비행성능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확인, 검증, 인증(VV&A : Verification, Validation & Accreditation)절차를 별도로 수행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그림 16.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예) ⓒ2008 HelloDD.com

▣ 모의비행시험(HILS: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모의비행시험은 M&S 기반 시험평가 기법으로 실험실 내에서 유도탄 탑재장비 하드웨어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방안이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시험평가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웠던 실제 탑재장비들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행시험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다양한 조건을 모의할 수 있어 비행시험 횟수를 최소화, 개발비용 및 기간 단축, 그리고 탑재장비들의 신뢰도 극대화에 기여하여 왔다. 표 1은 HILS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3축'이라 함은 유도탄 자세 측정 장치인 IMU를 3축으로 기울여 실제 비행 상황을 모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5축'은 탐색기의 자세(3축)와 표적위치(2축)를 모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HILS의 종류, 그림 17. HILS 수행개념 사례 ⓒ2008 HelloDD.com

그림 17은 HILS 수행 개념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조합(CASE 1, 2 등)의 HILS를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항공기 탑재비행시험(CFT : Captive Flight Test)

항공기 탑재비행시험은 그림 18과 같이 유도탄의 탑재장비들을 항공기에 장착하고 비행함으로써 유도탄 탑재장비들의 비행 중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특히 비행 상황에서 그 고유한 특성이 나오는 전파고도계, 관성항법장치(IMU), 위성항법장치(GPS) 등의 측정 장비 및 센서에 대한 시험평가를 유도탄 비행시험 이전에 여러 번 수행하여, 시험 위험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참고문헌 [7]에 기술되어 있다.

▲그림 18. 항공기 탑재비행시험 개념(좌), 그림 19. 전자파 간섭시험(RE)(우) ⓒ2008 HelloDD.com

▣ 구성품별 환경시험

제작된 구성품은 유도탄에 탑재하기 전에 부여된 환경 규격 및 전자파 규격을 만족해야만 유도탄에 탑재가 가능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 환경시험과 전자파 간섭시험(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이다. 환경시험 환경규격 만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 군사규격인 MIL-STD-810E를 준용하여 고온/저온시험, 진동, 충격, 습도, 가속도 등의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전자파 간섭시험 환경규격뿐 아니라 전자파 간섭에 대한 시험평가도 수행되는데 여기에는 MIL-STD-461E의 CE(Conducted Emission 전도방사), CS(Conducted Susceptibility 전도내성), RE(Radiated Emission 복사방사), RS(Radiated Susceptibility 복사내성)의 항목에 대한 시험이 수행된다. 그림 19는 RE시험의 한 장면이다.

▣ FMT(Flat-Missile-Test)

FMT는 Round-Missile-Test와의 대조적인 개념으로 활용하는 유도탄 탑재장비 시험기법이다. 즉, 유도탄에 조립되기 전 모든 탑재장비들을 그림 20과 같이 탁자 위에서 서로 연결하고 유도탄 시험장비(MSTS: Missile System Test Set)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탄내장비 공급전원 확인, 초기이벤트 명령 확인, 유도조종장치, 구동장치 등 탑재장비들의 정상작동여부 확인, 원격측정신호 동작확인 등이 가능하다.

▲그림 20. FMT 개념(좌), 그림 21. TacTom 지상종합시험(우) ⓒ2008 HelloDD.com

▣ 유도탄 지상종합시험(Round-Missile-Test)

앞에서 기술한 모든 시험을 통과한 탑재장비를 실제 유도탄 기체에 조립/장착하고 이에 대한 지상종합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비행시험 이전 최종적으로 탑재장비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림 21은 미국의 TacTom에 대한 지상종합시험 장면이다. 유도무기체계 시험평가를 위한 국내 역량 이번 장에서는 유도무기체계 비행시험을 위해 국과연이 운용하고 있는 안흥 종합시험단과 해미의 항공시험장(제5시험장)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한다.

▣ 안흥 종합시험단[8]

다양한 무기체계의 비행시험과 사격시험에서 성공적인 시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계측시스템이 필요하다. 1977년에 준공된 안흥 종합시험단은 최초 지대지 유도탄 백곰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이후 지금까지 현무, 신형자주포, 천마, 해성-1, 신궁, 차기 전차 및 차기 보병전투 장갑차 체계시험까지 다양한 무기체계에 대한 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림 22에는 유도무기 비행시험시 사용되는 시험 통제 및 계측 체계를 보여 주고 있다.

기준시각 종합시험장의 모든 계측장비는 동일한 기준시각을 사용하여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정밀한 분석결과를 위해서 계측 및 기록을 동일한 시점으로 맞추는 작업은 중요하다. 비행시험 통제소(MCC : Missile Control Center) 비행시험 통제소에서는 시험 책임원이 시험 준비, 발사, 비행, 탄착 등의 전 시험과정을 지휘 통제한다. 또한 각 담당원들이 모든 계측장비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비행시험 수행 시 비행시험 통제원이 각 계측 사이트의 계측 통제원과 상호연락이 가능한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림 22. 비행시험 통제 계측 체계 ⓒ2008 HelloDD.com

원격측정 시스템(Telemetry System) 원격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행체에서 송신하는 위치자료(위도, 경도 및 고도), 운동특성(속도, 가속도)등 유도무기 내부 동작정보를 획득하며, 실시간으로 자료를 표시하고 저장할 수 있다. 종합시험단에서는 표 2와 같이 고정형과 이동형 원격신호 수신 체계를 사용하여 비행체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추적하고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표 2. 원격측정 시스템 성능 ⓒ2008 HelloDD.com

탄도계측 레이더 원격측정 시스템의 위치정보는 비행체의 센서를 통해서 계산하는 위치정보이므로, 센서의 상태와 시험환경에 따라 위치정보에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비행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선 이미 위도, 경도 및 고도 등의 위치정보를 알고 있는 장소에서 고성능의 레이더로 비행체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담당하는 것이 탄도계측 레이더이다. 비행체의 위치를 거리, 방위각 및 고각으로 분석한다. 또한 시험의 성격에 따라 탄착점의 분포, 표적운동 분석(이벤트 시각 및 회전율), 동적 레이더 유효반사면적(RCS : Radar Cross Section) 등도 분석 가능하다. 탄도 계측을 위해서 사용되는 장비에는 RIR(Range Instrumental Radar), NIDIR(Nike-hercules Digital Instrumentation Radar) 등이 있으며, 주요제원은 표 3과 같다.

▲표 3. 탄도계측레이더 장비 및 성능 ⓒ2008 HelloDD.com

광학계측 계측자료가 수치로 저장되는 원격측정이나 탄도계측 레이더와는 달리 광학계측은 영상정보가 추가로 저장된다. 수치정보로 알기 힘든 비행시험 상황을 가시광과 적외선 영상자료로 제공하므로 시험 후 결과분석 작업과 시험과 정의 시현에 도움을 준다. 특히 초기탄도 및 비행현상을 계측하는데 주로 이용하며, 신관폭발고도 및 고속운동현상 분석에도 사용된다. 탄도 계측장비와 연동이 가능하여 비행체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도 있다. 광학계측장비에는 EOTS(Electro Optical Tracking System), FASIR(Flight Attitude System Salved Instrumentation Radar) 그리고 디지털 고속카메라 등이 있다.

▲표 4. 광학계측 장비 및 성능 ⓒ2008 HelloDD.com

기상계측 시험 당일의 기상은 시험수행 가부를 결정하고, 또한 비행용 및 계측용 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시험장에서는 표 5와 같은 저/고공기상 그리고 지면기상센서를 이용하여 풍향, 풍속, 온도, 습도, 대기압, 강우량, 가시거리 그리고 공기밀도 등의 자료를 제공한다.

▲표 5. 기상계측 장비 및 성능 ⓒ2008 HelloDD.com

시험안전 안전 통제소의 안전 책임원은 시험장 내로 출입하는 모든 선박의 상황을 파악하여 비행시험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시험 당일 어선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해상통제도 시험장 전용 통제선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 해미 제5시험장

제5시험장은 제20전투비행단 영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발 항공기, 성능개량 항공기 등의 기술시험시설, 전 기체 지상시험시설 및 계통개발에 요구되는 각종 시험을 1997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유도무기체계를 위한 각종계측장비의 항공기 탑재비행시험(CFT) 등을 KO-1 시제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탑재시험에 사용하는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그림 23의 항공기 탑재 계측 시스템과 그림 24의 지상 계측 시스템이 그것이다.

▲그림 23. 항공기 탑재 계측 시스템(좌), 그림 24. 지상 계측 시스템(우) ⓒ2008 HelloDD.com

지상계측 시스템의 수신부는 항공기에 탑재된 계측 시스템이 영상이나 수치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신호는 재생부에서 실시간으로 도시하고 실시간 처리자료를 통해, 항공기의 자세 및 비행정보가 그래픽으로 표현된다. 또한 전술비행항법시스템(TACAN: TACtical Air Navigation)을 통해 그림 25와 같이 항공기 비행궤적을 도시한다.

▲그림 25. TACAN 화면 ⓒ2008 HelloDD.com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비행시험 시험평가 적용개념(안)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의 시험평가를 위해서 3장에서 소개한 유도무기 시험평가 절차에 따라서 유도무기개발을 수행해야 한다. 소요군의 요구조건을 TEMP에 세부적으로 작성하여 개발과 시험평가 방법 등을 조율한다. 그 후 일반적인 유도무기체계 개발과정인 M&S를 통한 소프트웨어 시험평가 그리고 모의비행시험, 항공기 탑재시험, 구성품별 환경시험 등을 통해 하드웨어 장비의 시험평가를 수행한다. 이렇게 준비된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를 비행시험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그림 26에서는 앞 장에서 소개한 시험자원을 사용하여 향후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의 비행시험 평가의 적용개념(안)을 제시하였다. 종합시험단은 유도무기 비행시험에 대한 통제경험과 계측기술이 축척되어 있으므로 비행시험 통제 총괄 및 유도무기에 대한 계측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제5시험장에서는 항공기 통제를 위한 시스템과 경험이 있으므로 항공기와 관련된 통제 및 계측 업무를 담당하는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그림 26.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비행시험평가 적용개념(안) ⓒ2008 HelloDD.com

MCC에서는 비행통제실과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항공기 이륙준비 상황을 판단하고 비행시험을 진행 및 통제한다. 또한 종합시험단의 각 시험요원들의 준비상태를 점검, 종합적 시험 진행을 담당한다. 안전통제실에서는 표적지 주변의 해상소개 상황과 공역확보를 담당하고 실시간으로 안전상황을 MCC에 보고한다. 비행통제실에서는 명령체계의 단순화를 위해 항공기 이륙부터 착륙까지 항공기를 시험조종사와 실시간 통신을 이용해 통제한다.

RIR과 같은 계측장비들은 발사 직후 공중발사 유도무기의 추적편이성과 항공기의 계측시스템 결과와의 분석에 활용하기위해 발사 전까지 항공기를 추적하고 기록한다. 발사 직후엔 유도무기의 정보만을 계측한다. 유도무기를 발사한 항공기는 비행통제실의 통제를 받아 귀환 또는 다음 임무(재발사 등)를 수행한다. 추적(Chase)항공기를 통해 시험 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상황을 대비하도록 하며, Telemetry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발사시 영상자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표적지에도 카메라를 설치하여 탄착하는 장면을 영상자료로 획득한다. 개념(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각 시험장 간의 통신환경이 구축되고 임무체계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며 항공기 및 조종사를 지원하는 공군과의 사전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결 론

지금까지 국과연이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 개발에 활용이 가능한 시험평가 인프라를 소개하고 나아가 비행시험 개념을 개략적으로 제안하였다. 향후 공중발사 유도무기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대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시험평가 활동과 관련된 사항만을 보더라도 시험평가를 위한 발사 항공기 준비, 탄착 지역을 포함한 시험 공역 및 시험장, 시험평가 대상으로 다양한 표적 구축, 장거리 telemetry, 실시간 시험통제 및 시험안전 방안 등의 시험체계를 구축이 필요하다. 이 글을 통해 관련 기관 및 인원들이 보다 발전된 토의/연구를 진행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참고문헌

[1] 이대열 외, "항공기탑재 정밀유도폭탄 1차 비행시험 결과", 국과연 보고서 MADC-416-070405, 2006. 9. [2] JANE'S Defense Data Service(JDDS) Server 2007. [3] "TAURUS KEPD 350 – System Overview and Key Features", 2006. 5. [4] DoD Directive 5000.3-M-1 "Test and Evaluation Master Plan Guidelines", 1986. 3. 12, U.S. DoD. [5] 방위사업청 훈령65호, "방위력개선사업 관리규정", 2007. 10. 30, 방위사업청. [6] Jackson E. B. and Cruz C. L., MATLAB 7.0.4 Simulink Demo – Aerospace Blockset, 2003. 6. 26, Mathworks. [7] 이성만, 이수창, 오현식, 성덕용, "탑재비행시험을 이용한 유도무기 탑재장비의 시험평가", 항공우주학회지 제35권 1호, 2007.1. 1. [8] 국방과학연구소 홈페이지(http://www.add.re.kr)내 종합시험단 소개. 약어정리 • TEMP(Test and Evaluation Master Plan): 시험평가 기본계획서 • KGGB(Korean GPS Guided Bomb): 항공기 탑재 정밀유도 폭탄 • JDAM(Joint Direct Attack Munition): 합동 직접공격탄 • DAMASK(Direct Attack Munition Afford-able Seeker Kit): 저가 탐색기 장착 직접공격탄 • SLAM(Stand-off Land Attack Missile): 원격 대지 유도탄 • GBU(Guided Bomb Unit): 유도폭탄 • EMP(Electro-Magnetic Pulse): 전자기펄스 • DOF(Degree of Freedom): 자유도 • VV&A(Verification, Validation and Accreditation): 확인, 검증 및 인증 •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모의비행시험 • GCU(Guidance and Control Unit): 유도조종장치 •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관성항법(측정)장치 • CFT(Captive Flight Test): 항공기탑재비행시험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체계 •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간섭 • FMT(Flat Missile Test): 유도탄 탑재장비점검 • MSTS(Missile System Test Set): 유도탄 시험장비 • RMT(Round Missile Test): 유도탄 지상종합시험 • TacTom(Tactical Tomahawk): 전술 토마호크 미사일 • MCC(Missile Control Center): 비행시험통제소 • RCS(Radar Cross Sectional Area): 레이더 유효반사면적 • RIR(Range Instrumental Radar): 계측레이더 • NIDIR(Nike-hercules Digital Instrumental Radar): 계측레이더의 일종 • EOTS(Electro Optical Tracking System): 전자광학 추적시스템 • FASIR(Flight Attitude System Slaved Instrumentation Radar): 계측레이더 연동 비행자세계측 시스템 • TACAN(Tactical Air Navigation): 전술 비행항법시스템 * 이 콘텐츠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본지의 동의 없이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저작권자 © 헬로디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